본문 바로가기
Book review

무라카미 하루키의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

by 롹앤롤 2023. 9. 29.
반응형

특이점

무라키미 하루키의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는 뉘앙스와 복잡성의 보물로, 그의 후기 작품의 상징이 될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몇 가지 면에서 구별된다.

 

서정적인 산문: 모든 문장이 치밀하게 세공되어 다음 문장과 조화롭게 어우러져 거의 음악적인 산문을 만들어 낸다. 

마지막 페이지를 넘기고 한참 후에 울려 퍼지는 부드러운 세레나데이다.

음악과 내러티브의 상호작용: 음악, 특히 서양 음악의 언급은 내러티브의 단순한 부속물이 아니다. 그것은 거의 그 자체로  하나에 캐릭터로서 기능하고, 톤을 설정하고, 내러티브를 어슬렁거리고, 등장인물들의 정신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소설에 등장하는 음악을 들으며 독서를 해보면 좋을 것이다.)

실존적 오버톤: 이 초기 작품에서도 무라카미 하루키의 철학적 성향은 밝게 빛난다. 대화는 종종 실종적 난제, 존재의 본질, 겉보기엔 무관심한 우주에서의 의미 찾기를 건드린다.

사실주의와 초현실주의의 혼합: 이야기가 대체로 현실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미묘한 초현실적인 요소들이 이야기에 스며든다. 주인공이 듣는 호기심 많은 라디오 쇼든 바람의 유혹이든 간에 이러한 요소들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후기 작품에서 더 노골적으로 환상적인 요소들의 전조 역할을 한다.

문다니티 상승: 무라카미 하루키의 특출한 재능 중 하나는 평범함을 비범하게 만드는 그의 능력이다. 일상 대화, 일상적인 관찰, 일상적인 사건들에는 의의, 깊이, 그리고 아름다움이 스며있다.

보편적인 주제: 일본의 문화와 환경에 깊이 뿌리박고 있지만, 소설의 주제는 보편적이고, 젊음의 딜레마, 외로움의 아픈 틈, 기억의 천상적인 본질을 경계를 초월하여 울려 퍼지는 감정으로 소설을 세계적으로 공감하게 한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문학적 천재성을 엿볼 수는 있지만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는 결코 단순한 서곡이 아니다. 그것은 섬세함과 깊이로 인간 존재의 무수한 복잡성을 압축한 가슴 절절하고 반성적인 서사이다. 아직 무라카미 하루키의 세계에 익숙하지 않은 이들에게 이 소설은 부드러운 시작으로, 노련한 이들에게는 그 모든 것이 시작된 곳으로 돌아가는 향수 어린 여정을 제공한다.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이야기꾼 중 하나로 무리카미 하루키의 자리를 굳혀주는 이 작품의 시대를 초월한

아룸다움이다.

 

 

소설정보

세계 문학의 복잡한 지형에서 무라카미 하루키만큼 특별함으로 이름을 새길 수 있었던 현대 작가는 거의 없다.

일본 출신이지만 전 세계적으로 울려 퍼지는 그의 이야기들은 인간의 감정, 관계, 그리고 잊혀져 가는 본질을

미묘한 풍경들로 묘사한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데뷔작인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는 그의 방대하고 매혹적인 문학 

세계로 가는 첫 관문이다. 1979년에 출판된 이 소설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세계로의 입문을 기념하는 작품일 뿐만

아니라, 이 후 이어지는 '1973년의 핀볼'에 의해 깊이를 더 하고 '양을 쫓는 모험'으로 절정에 이르는 '쥐 3부작'의

시작이다. 대부분의 하루키 팬들이 '상실의 시대(노르웨이의 숲)'나 '해변의 카프카', '1Q84'같은 베스트셀러에

매혹되곤 하지만 그렇다고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의 매력이 과소평가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의 상대적인 간결성은 그의 후기 작품들과 비교했을 때 주제 탐구의 깊이와 범위에 대조되곤 한다.

여기에서 우리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본질적인 문학세상의 시초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줄거리

1970년대 후반 어느 바닷가의 마을 안에 위치한 '바람의 소리를 들어라'의 배경은  거대한 사건이나 혹할만한 소재로

독자를 끌어당기지는 않는다. 대신 기억과 대화, 그리고 잠깐 동안의 감각의 파편들에 대한 우울한 묘사를 통해 

마법을 만든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많은 소설에서의 트레이드 마크인 이름 없는 주인공은 여름 방학 동안 도쿄에서 

고향으로 돌아온다. 하염없이 나태한 삶을 즐기며 아늑하면서도 수수께끼 같은 J바는  쥐로 불리는 그의 친구와

 주인공이 변덕스러운 것과 심오한 것에 대해 토론하는 위안의 성역이 된다. 아홉 개의 손가락으로 구별되는

한 여성과의 덧없지만 영향력 있는 관계를 포함하여 그의 현재 경험을 기록하는 동안, 그것은 과거와 현재가 아름답게 

엮인 이야기를 만들면서, 주인공의 학창 시절의 가슴 아픈 기억들을 이야기한다.

무라카미 하루키는 이 병치를 통해 향수, 기억의 무게, 사랑의 소멸, 그리고 종종 일상생활의 절제된 복잡함에 대한 주제들을 깊이 파고든다. 이야기는 일종의 반성적인 성찰로 가득 차 있고, 답에 대한 긴급한 필요 없이 삶의 많은 미스터리들을 부드럽게 탐구한다.

 

 

반응형